-
변기 묵은때 제거 방법생활정보 2019. 11. 15. 23:12
변기 찌든 때 청소는 집안일 중 하기 싫은 청소 중 하나일거라고 생각합니다. 변기는 이상하게 청소한지 얼마 안된 것 같으면서도 또 다시 보면 더러워져있습니다. 특히 같이 사는 가족이 많을땐 더 자주 청소를 해줘야합니다. 또 혼자 사시는 자취생분들에게도 피해가고 싶은 청소라고 생각되네요.
그래서 평소에 종종 청소해주어 찌든때가 잘 안끼는 방법과 묵은때를 제거하는 방법을 같이 알려드리겠습니다.
1. 물청소 - 뜨거운 물은 기름기도 희석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샤워를 하면서 뜨거운물로 변기 구석구석을 물청소 해주신다면 아무래도 찌든때가 생기는 것을 늦출 수 있을겁니다. 또 샤워하면서 뜨거운물로 화장실 벽들도 싹 물청소해주시면 화장실 물때 끼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습니다.
2. 베이킹소다 - 베이킹소다는 세정력이 좋고 안전합니다. 변기 안 찌든때에 베이킹소다를 넉넉히 부어주고 뜨거운 물을 변기를 불릴 정도로 부어주면 끝입니다. 반나절정도 기다려주신 뒤에 변기솔로 깨끗히 청소해주시면 됩니다. 다른 방법들보다는 시간이 좀더 걸릴 수 있겠지만 쉬운 방법으로 가능한 청소 방법입니다. 출근하실때나 대청소를 할 때에는 한번 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3. 콜라 - 콜라로 변기 찌든때가 제거 된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모르십니다. 콜라는 찌든때가 생길때 쯤에 변기에 부어주고 2~3시간 지난 후 변기 솔로 간단히 청소해주시고 물을 내리면 변기가 깨끗해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냄새나는 화학제품을 사용하시기 싫으실 때 한번 정도 활용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4. 락스 - 보통의 가정집에서는 락스를 많이 사용합니다. 냄새가 좀 강하지만 오랜 묵을 때를 제거하기 좋습니다. 변기에 락스를 부은 후 조금 불려 주신뒤 변기솔로 청소해주시면 됩니다. 단 락스가 묻어있는 부분 위주로 제거가 되기때문에 불려주신후 희석한 락스를 부어가면서 청소해주시면 좀 더 빨리 제거하실 수 있습니다.
5. 커피찌꺼기 - 커피 찌꺼기도 변기 묵은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준비물입니다. 뜨거운물에 살짝 불린 커피 찌꺼기를 변기솔에 묻혀 찌든때 부위를 청소해주시면 묵은때가 제거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6. 염산 -염산은 저렴한 가격에 한방의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변기의 물을 건조시킨 후 희석시킨 염산을 부어주시면 됩니다. 넉넉히 1시간 정도 후에 변기 솔로 청소해 주시면 됩니다. 사용하실 때에는 농도가 낮은 제품을 사용하시고 부주의로 피부 외에도 살이 녹거나 다칠 수 있는 우려가 있습니다. 되도록이면 천연세제나 락스정도로 청소해 주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p
7. 세제 - 뜨거운물에 세제를 풀어 희석해준 뒤에 변기에 부어가며 청소해주시면 변기 묵은때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8. 치약 - 치약으로는 간단한 찌든때를 제거하실 수 있습니다. 변기 내부까진 힘들더라도 세면대나 변기 외부 묵은때를 제거하시기에 효과적입니다. 특히 베이킹 소다와 함꼐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9. 식초 - 산성이 강한 제품으로 대표적인 식초도 변기 묵은때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식초냄새는 고약하지만 농도가 좋은 식초를 변기에 부어주신 후 뚜껑을 닫고 반나절 기다려주면 됩니다. 후에 변기솔로 청소해주시면 깨끗한 변기를 볼 수 있습니다.
10. 변기 세정제 (파란물) - 마지막은 변기 세정제를 사용해 묵은때를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변기 안에 소량의 변기 세정제를 붙여 사용합니다. 시중에도 저렴한 가격에 많이 판매가 되고 직접 만들어 사용도 가능합니다.
천연 변기 세정제 만드는 방법은 (소주잔 기준) - 준비물은 치약1잔 , 베이킹소다2잔 입니다. 잘 섞어 반죽이 되면 부직포나 얇은 천에 넣고 끈을 달아 변기 물탱크 안에 잘 걸어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화장싱 변기 묵은때 청소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자주자주 하기 힘든 변기 청소 방법 보시고 한번 실천해 보시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대 위치 & 머리두는 방향 & 풍주리지 팁 알아보기 (1) 2019.11.19 레틴a 크림 (retin-a cream) 사용방법 & 주의사항 & 부작용 모음. (0) 2019.11.17 바세린 용도 & 발암물질 성분 알아보고 사용하세요. (0) 2019.11.16 2020년 달력 / 빨간날 쉬는날 명절 대체휴무일 알아보기 (0) 2019.11.15 2020년 연말정산 달라진점 & 기간 알아보고 신청하기 (0) 2019.11.14